-
오른쪽 또는 왼쪽 뒤통수가 찌릿거린 증상건강 정보 2022. 12. 8. 15:27반응형
전기가 오르는 것처럼 뒤통수가 찌릿거린 증상이 나타나서 당황한 적 없으신가요. 뒤통수가 찌릿거린 원인으로 단순 두통을 생각하는 분들도 있지만 찌릿찌릿한 통증은 일반적인 두통이 아니라 후두신경통일 수 있으며 목디스크나 뇌졸중 등의 질환일 수 있습니다. 때문에 증상이 반복되는 경우 진찰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뒤통수가 찌릿거린 증상이 있을때 흔히 의심하는 질환으로 후두신경통이 있습니다. 후두신경통이란 이름대로 후두신경의 통증입니다. 신경통의 일종으로 어떠한 원인으로 신경이 자극을 받음으로써 발생하는 통증입니다.반응형후두신경통 원인은
일자목, 거북목,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경직된 근육이 후두신경을 자극하거나 종양이 신경을 압박할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책상에 장시간 앉아서 작업을 하는 사람에게 후두신경통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증상은 사람마다 다르게 느끼는데 머리 뒷부분, 귀 뒤, 목덜미를 찌르는 것 같은 통증이 느껴집니다. 심해지면 눈이 빠져나올 것 같이 아프고 침침하게 보입니다. 이외에도 어지럽고 메스꺼우며, 코막힘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후두신경통이 발생하면 생활의 질이 급격히 저하되기 때문에 치료받아야 합니다.
후두신경통으로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을 확인해 두세요.- 목 뒤부터 뒤통수까지 묵직한 통증이 있습니다.
- 귀 뒤와 뒷목을 바늘로 콕콕 찌르는 것 같이 아픕니다.
- 뒤통수에 전기가 통하는 것 같은 통증이 있습니다.
- 뒷목부터 어깨까지 아픕니다.
- 눈이 빠져 나올 것처럼 아픕니다.
- 시력이 나빠진 것 같습니다.
후두신경통으로 인한 뒤통수 찌릿거린 증상 예방 치료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노력하고 스트레칭을 틈틈이 하는 것으로 통증을 개선하는데 도움받을 수 있습니다. 컴퓨터 작업을 하는 사람은 쉬는 시간마다 목 스트레칭을 반드시 합니다.
스트레칭만으로는 통증이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병원에서 약물, 물리치료, 주사 치료 등을 받아야 합니다.
목디스크로 인한 뒤통수가 찌릿거린 증상
컴퓨터 및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길어지면서 머리, 목, 어깨, 등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잘못된 자세로 인한 근육통인 경우가 많지만 뒤통수와 목이 찌릿거리고 아픈 것 외에 팔까지 저리고 아프다면 목디스크를 의심해야 합니다.
목디스크는 노화도 원인이지만 잘못된 자세로 인해 발병하기 쉬운 질환입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고개를 앞으로 숙이거나 PC를 볼 때 목만 앞으로 쭉 내민 자세로 있으면 일자목이 되고 뼈와 뼈 사이에 디스크가 튀어나와 신경을 눌러서 통증이 발생합니다.
단순 근육통으로 생각하고 약을 먹거나 파스를 붙이는 것으로 끝낼 경우 치료시기를 놓쳐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오른쪽 또는 왼쪽 뒤통수가 찌릿거린 증상 외에 다음 증상이 있다면 서둘러 검사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목을 왼쪽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통증이 있습니다.
- 어깨가 쑤시고 아픕니다.
- 뒤통수부터 이마까지 지끈거리고 아픕니다.
- 두통, 어지럼증, 이명 등이 있습니다.
- 팔의 특정 부위가 저립니다.
- 글씨를 쓰거나 물건을 쥐는 힘이 약해졌습니다.
- 다리에 힘이 없어지고 계단을 오르 내릴 때 휘청거립니다.
목디스크 초기라면 물리치료와 약물, 주사 같은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6개월이 지나도 여전히 아프며 팔저림, 근육 위축 등이 있다면 수술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예방을 위해 평소 자세, 스트레칭을 신경 써야 하며 가능하면 조기에 치료받도록 해야 합니다.
뇌졸중 같은 뇌혈관 질환으로 인해 뒤통수가 찌릿거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두통과 함께 메스꺼움과 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지금까지 경험해 본적 없는 통증이라면 서둘러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스트레스를 받아서 일시적으로 뒤통수가 찌릿거린 것일 수도 있습니다. 충분한 휴식을 취한 후 증상이 나아지는지 관찰합니다.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사람도 뒤통수 찌릿찌릿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약물, 운동, 식이요법으로 혈압을 꾸준히 관리해서 합병증이 생기는 것을 예방해야 합니다.
오른쪽 또는 왼쪽 목과 뒤통수로 찌릿한 통증이 있고 몸 한쪽에만 띠 형태의 수포가 나타났다면 대상포진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발생 72시간을 넘기지 않고 치료받으면 합병증인 신경통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뒤통수에 신경쓰이는 통증이 단순 스트레스, 근육통 때문이 아니라 질병이 원인일 수 있는 만큼 무리하게 참지 말고 검사 후 치료받을 수 있었으면 합니다.반응형'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륨 수치가 높으면 나타나는 증상 4가지 (0) 2022.12.13 식후 1시간 혈당 정상수치 낮추기 (0) 2022.12.09 두피열 내리는법 두피열 내리기 중요해요 (0) 2022.12.03 견갑골 통증 원인 의심되는 질환 (0) 2022.12.01 허리 근육 강화 운동 걷기 안하면 손해 (0) 2022.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