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몸에 힘이 빠지는 증상 이유건강 정보 2022. 7. 25. 16:10반응형
불규칙한 생활이나 스트레스는 피로감, 권태감, 몸에 기운이 없는 이유가 됩니다. 이 경우 규칙적인 생활과 식사가 중요하며 그래도 온몸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낫지 않을 경우 질병의 신호 일 수 있으니 진료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팔다리 힘이 빠지는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수면 부족이나 피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온몸에 힘이 빠지는 증상 이유입니다. 수면이 부족하고 피로하면 혈액순환이 나빠지기 때문에 기운이 없고 힘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이 경우 치료보다는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영양부족으로 인한 증상
온몸에 힘이 빠지는 이유로 근육을 움직이는 에너지 부족이 있습니다. 영양섭취가 부실할 경우 에너지가 부족하고 기운이 나지 않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영양부족으로 힘이 빠지는 일은 거의 없지만 어떤 이유로 식사를 제대로 챙기지 못했다면 우선 영양을 충분히 보충합니다.반응형갱년기로 인한 힘빠짐 증상
폐경 앞뒤로 5년, 총 10년을 갱년기라고 합니다. 보통 50세가 되면 폐경이 되는데 이때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여성 호르몬의 감소로 인해 안면홍조, 식은땀, 어깨 결림, 관절통, 어지러움, 두통, 불면증, 가슴 두근거림, 이명, 몸에 기운이 없는 증상 등이 나타납니다.
온몸에 힘이 빠지는 증상은 다양한 질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 호르몬 감소로 인해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라고 하여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가 저하되면 영양이 에너지로 제대로 전환되지 않습니다. 이로 이해 무기력, 근력 저하, 피로, 추위, 변비, 체중 증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성 신장 질환이 이유
신장 기능이 저하되어도 초기에는 자각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눈치 채기 어렵고 방심하기 쉬운 것이 신장병입니다. 진행이 되면 온 몸에 힘이 들어가지 않고 피로하며 식욕부진, 두통, 메스꺼움, 부종, 동계, 호흡곤란, 고혈압 등이 발생합니다. 체내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고 쌓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들입니다.
심부전으로 인한 힘이 빠지는 증상
심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전신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겨서 호흡곤란, 부종이 발생합니다. 근육에 충분한 혈액이 전해지지 않는 것으로 전신 권태감, 통증도 느껴집니다.
한쪽 몸에 기운이 없는 이유 뇌질환
간질이나 뇌경색 등이 원인이 되에 뇌의 명령이 근육에 제대로 전해지지 않을 경우 한쪽 몸에 마비, 힘빠짐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뇌혈관의 문제로 인한 한쪽 마비 저림 등은 서둘러 치료해야 합니다.
혈관미주신경성실신
운동장에서 조회를 하다가 갑자기 쓰러졌다면 이는 일시적으로 자율신경계의 균형이 깨졌기 때문입니다. 심박수가 느려지고 혈압이 떨어지면서 의식을 잃은 것으로 혈관미주신경성실신이라고 하는데 주로 긴장, 스트레스가 원인이 됩니다.
저혈압으로 인한
온몸에 힘이 빠지는 증상은 저혈압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의욕은 있는데 몸이 피로하고 눕고 싶지 않나요. 별다른 질병은 없는데 이렇나 증상이 지속된다면 저혈압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혈압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에도 현기증, 두통, 이명, 불면증 등 다양한 증세가 나타나며 고혈압만큼 주의가 필요합니다.
저혈당이 원인
혈당이 너무 낮아지면 자율신경증상이 나타납니다. 식은땀, 손떨림, 심장 두근거림, 창백함은 물론 심해질 경우 눈앞이 흐려지고 온몸에 힘이 빠지면서 실신을 할 수 있습니다.
철결핍성빈혈
빈혈이 되면 산소가 부족해져서 피로하고, 가슴두근거림, 호흡곤란, 두통, 현기증, 몸에 힘이 없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빈혈 원인은 철분이나 비타민이 부족, 질병 등이 있으며 대부분은 철분이 부족한 철결핍성 빈혈입니다. 음식, 보충제 섭취가 필요합니다.
골격계의 이상
골력계의 문제로 인해 신경이 압박되거나 하면 힘빠짐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어떤 원인으로 발생한 것인지 엑스레이나 CT등의 검사로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온몸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있다면 우선 생활습관을 검토한 후 그래도 개선되지 않으면 진찰받습니다.
양질의 수면을 합니다. 자율신경을 정상으로 회복하려면 수면이 중요합니다.
균형잡힌 식사를 합니다. 규칙적인 시간에 식사를 하고 골고루 섭취합니다. 균형잡힌 식사가 어렵다면 보충제, 건강 식품으로 챙깁니다.
적당한 운동을 합니다. 유산소 운동은 혈류를 좋게하고 피로 원인이 되는 물질이 쌓이는 것을 예방합니다.
갑자기 온몸에 힘이 빠지고 기운이 없다면 혼자서 고민하기보다 의료기관에서 정확하게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반응형'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드랑이 색소침착 없애는 방법 (0) 2022.07.28 종아리 근육파열 증상 자가진단 (0) 2022.07.26 한포진 초기증상 관리법 (0) 2022.07.18 얼굴에 땀이 많이 나는 이유 해결 (0) 2022.07.15 엉치뼈가 아픈이유 대처법 (0) 2022.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