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벌 쏘였을때 응급처치 치료 방법
    건강 정보 2022. 8. 17. 17:11
    반응형

    성묘, 벌초 중에 벌쏘임으로 치료받는 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사고라는 것은 예상할 수 없기 때문에 벌 쏘였을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벌 쏘였을때 응급처치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벌쏘임을 가볍게 생각하는 분들도 있지만 체질에 따라 사망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니 벌쏘임 응급처치를 반드시 알아둘 수 있었으면 합니다.

     


    벌쏘임 사고는 성묘, 벌초 중에 발생하기 쉽습니다. 추석 명절이 가까워지면 벌초를 하는 분들이 많은데 그 시기에 벌들이 활발하게 번식하고 활동을 합니다. 때문에 벌에 쏘이지 않게 주의하고 만일을 대비하여 벌 쏘였을때 응급처치 방법도 알아두어야 합니다.

     

    반응형

     

    벌에 쏘이지 않게 예방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벌초, 성묘를 계획하고 있는 분들은 벌에 쏘이지 않게 대비를 해야 합니다.

     

    • 긴 옷과 장갑, 장화를 착용합니다.
    • 미리 벌집의 위치를 파악합니다.
    • 향이 강한 향수, 화장품은 피합니다.
    • 어두운 계통의 옷을 착용하지 않습니다.
    • 말벌이 검은색에 공격 성향을 보입니다.
    • 머리를 보호하는 모자를 착용합니다.
    • 청량음료, 과일 등 단음식을 옆에 두지 않습니다.
    • 자세를 낮추고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예방을 했지만 벌 쏘였을때 응급처치 방법>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기
    가장 먼저 벌에 쏘인 사람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키고 피부에 벌침이 남아 있는지 확인하고 안전하게 제거해야 합니다.

    벌침 제거하는 방법
    손가락으로 벌침을 제거하려는 것은 위험합니다. 피부에 벌침이 남아 있다면 신용카드 같은 것으로 옆으로 긁어내야 합니다. 다만 말벌에 쏘였을 경우에는 침이 피부에 박히지 않기 때문에 상처부위를 자극하면 오히려 염증이 생길 수 있어서 삼가야 합니다.

     


    깨끗하게 씻고 얼음 찜질
    침을 제거했거나 피부에 침이 없을 경우 응급처치로 비누와 물로 벌에 쏘인 부위를 씻어야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얼음 주머니가 있다면 10분 정도 찜질을 하면 통증이 줄어들고 독소가 몸에 흡수되는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연고를 바르기
    벌에 쏘였을때 치료 방법으로 스테로이드 연고를 바르면 가려움이 진정됩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쏘인 부위에 연고를 바르고 통증을 줄일 수 있는 진통제를 복용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벌쏘일때 치료방법으로 민간요법을 시도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된장을 바른다거나 담뱃가루를 바르는 분들이 있는데 오히려 염증을 유발하고 증상을 악화시킵니다.

    벌 쏘였을때 응급처치가 끝났지만 증상이 심해지면 신속히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심하게 붓고 가려우며, 식은땀, 어지러움, 구토, 호흡곤란, 경련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응급처치만으로 해결할 수 없습니다. 119에 연락 후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7월부터 9월까지는 벌들이 왕성하게 활동하기 때문에 벌쏘임 사고가 증가합니다. 벌에 쏘이지 않게 야외활동을 할 때 주의하는 것은 물론 벌 쏘였을때 응급처치를 알아두고 올바르게 대처하여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었으면 합니다. 구토, 설사, 두드러기가 나타날 때는 즉시 병원에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