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좋은 음식 나쁜 음식음식 정보 2022. 9. 3. 15:54반응형
몸에 특별한 문제가 없는데도 설사, 변비, 복통, 가스 등의 증상이 장기간 지속되고 있다면 과민성 대장증후군일지도 모릅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은 음식, 스트레스와 관계가 깊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좋은 음식을 가까이하고 나쁜 음식은 멀리해야 합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으로 고민하고 있는 분들이라면 아래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을 참고하여 식사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IBS: irritable bowel syndrome)이란 건강에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설사나 변비, 복통, 복부 팽만감, 가스 등의 증상이 지속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젊은 사람들에게 많이 나타나며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장운동 이상, 내장의 지각 과민, 예민한 성격, 장내 환경 혼란, 스트레스 등이 관여하여 발생합니다.반응형또한 과민성 대장증후군은 증상에 따라 설사형, 변비형, 설사와 변비가 번갈아 반복되는 혼합형, 가스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증상은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고 스트레스가 됩니다.
고통스러운 과민성 대장증후군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음식 섭취가 중요하며, 평소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좋은 음식을 챙기는 것은 물론 나쁜 음식을 주의해야 합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좋은 음식부터 알아봅니다. 개선하기 위해서는 저포드맵 식사를 해야 합니다. FODMAP(포드맵)은 소장에서 흡수되기 어렵고 대장에서 발효되기 쉬운 당질을 말하는데 이는 과민성 대장증후군 증상을 악화시킵니다. 때문에 과민성 대장증후군 증상을 개선하고 싶다면 저포드맵 식품을 챙겨야 합니다.
저포드맵 식품으로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좋은 음식으로는 쌀, 떡, 감자, 토마토, 호박, 당근, 배추, 시금치, 콩나물, 빨간 파프리카, 딸기, 포도, 키위, 오렌지, 레몬,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생선, 계란 등이 있습니다.
감자
식이섬유인 펙틴이 들어 있어서 소화기 점막을 보호할 수 있으며 장운동을 촉진해 변비를 해소할 수 있습니다. 포드맵이 적기 때문에 가스도 안 차고 소화도 잘 됩니다. 평소 변비, 설사 등이 심해서 걱정이라면 감자와 당근을 함께 끓여서 스프로 만들어 먹으면 좋습니다.
과일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좋은 과일로는 바나나, 딸기, 포도, 레몬, 오렌지, 키위가 있습니다. 모두 낮은 포드맵 식품이라서 소화가 잘되고 장트러블을 유발하지 않습니다. 반대로 사과, 포도, 체리, 망고, 수박, 복숭아는 포드맵이 많은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나쁜 음식입니다.
시금치
과민성 대장증후군 환자에게는 식이섬유가 많은 채소가 무조건 좋지만은 않습니다. 식이섬유가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고 장내 환경을 개선하지만, 채식만 하면 배에 가스가 차고 복통, 설사가 나타나는 분들이라면 포드맵이 많은 채소 섭취를 주의해야 합니다.
포드맵 성분이 많이 들어 있는 채소를 먹을 경우 소화불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신 토마토, 당근, 가지, 피망, 시금치 같은 저포드맵 채소는 소화가 잘 되는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좋은 음식입니다.
포드맵이 많은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나쁜 음식 채소로는 마늘, 양파, 양배추, 브로콜리, 콩류, 아스파라거스, 아보카도 등이 있습니다.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해산물, 계란 등은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좋은 음식입니다. 포드맵 성분이 거의 없어서 제한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고기의 경우 기름진 부위를 주의하고 과다 섭취하지 않아야 합니다.
아래 음식은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나쁜 음식으로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지질이 많은 음식
지방이 장을 자극하여 설사를 하기 쉽습니다. 게다가 지방은 소화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위장에 부담이 커집니다.
향신료
매운맛을 내는 성분인 캡사이신은 소화기관의 운동을 항진시키고 복통을 유발하기 쉽습니다. 생강, 계피, 후추, 고춧가루 등은 섭취를 주의해야 합니다.
카페인은 대장의 운동을 자극해 과민성 대장증후군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알코올 또한 설사 증상을 악화시킵니다.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은 우유, 유제품을 먹으면 설사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식이요법과 스트레스 해소가 무척 중요합니다. 저포드맵 식품을 의식하여 섭취하고 폭음, 폭식을 하지 않으며, 규칙적으로 식사해야 합니다.
주요 원인이 스트레스이기 때문에 스트레스 관리도 중요하며 필요하다면 유산균이나 장 운동에 도움 되는 약물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이 생명을 위협하지는 않아도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키는 만큼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반응형'음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혈당에 좋은 음식 뭘까 (0) 2022.09.17 췌장에 좋은 음식 나쁜음식 (0) 2022.09.16 입맛 없을때 먹는 음식 모음 (0) 2022.09.02 미숫가루 칼로리 살찌나요 (0) 2022.08.30 신장 투석환자에게 좋은 음식 나쁜음식 (0) 2022.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