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츠하이머와 치매 차이 증상건강 정보 2022. 12. 24. 15:08반응형
누군가 알츠하이머와 치매 차이를 물었을 때 바로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알츠하이머와 치매 모두 고령화 사회에서 발병하기 쉬운 만큼 차이를 알아두고 올바르게 대처를 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알츠하이머와 치매의 차이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알츠하이머는 치매 원인 질환 중 하나입니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원인 질환
치매는 질병이 아니라 질병으로 인한 증상이며 치매에는 알츠하이머 치매 외에 혈관성 치매와 레비 소체형 치매 등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따라서 알츠하이머와 치매 차이는 하나는 치매를 일으키는 퇴행성 뇌질환이고 하나는 그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알츠하이머병을 원인 질환으로 치매에 이르면 알츠하이머형 치매라고 합니다.반응형알츠하이머병은 왜 발생하나요. 뇌에 아밀로이드β라는 단백질의 축적으로 인해 인지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입니다. 뇌에 축적된 비정상 단백질은 뇌신경세포를 파괴하며, 뇌신경세포가 파괴되면 뇌기관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인지기능이 저하됩니다.
여러 종류의 치매 중에서도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치매는 기억장애 증상이 현저하게 보입니다. 또한 병은 서서히 진행이 되며 사람마다 진행 속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초기 알츠하이머 증상
초기 단계부터 뇌의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의 손상이 시작됩니다. 이로 인해 판단력이 저하되게 됩니다. 시간을 틀리거나 순간 적절한 말이 나오지 않고, 요리 같은 절차와 계획이 필요한 일을 하기 어려워집니다.
기억장애가 발생합니다.
최근 있었던 일을 잊어버리거나 사물을 잊어버릴 수 있습니다. 노화로 인한 건망증이라면 친구와 노는 약속은 기억하고 장소, 시간을 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알츠하이머와 치매일 경우 친구와의 약속 그 자체를 잊어버립니다.
실행 기능 장애가 나타납니다.
일을 순서대로 실행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요리를 하는 것이 어렵고 음식의 맛이 바뀔 수 있습니다. 사람은 무의식적으로 일의 순서를 생각하여 움직이는데 알츠하이머일 경우 계획을 세우고 순서대로 움직이는 것이 어렵습니다.
피해망상증이 나타납니다.
실제로는 피해받지 않았는데도 주위 사람으로부터 피해를 입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망상에 사로잡히면 주위에서 무슨 말을 해도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진행된 알츠하이머 증상
중기 단계에 이르면 기억 인지 장애가 더욱 심해지게 됩니다. 같은 질문을 여러 번 반복하게 되며 물건을 어디에 두었는지 잊어버립니다. 누군가 훔쳐갔다고 망상할 수도 있습니다. 집에 가는 길을 모르거나 화장실에 갈 수 없어서 중간에 실수를 하게 되는 일도 발생합니다. 당연히 했던 일들을 할 수 없게 됩니다.
말기 알츠하이머 증상
더 진행되면 사람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어렵습니다. 자신의 모든 것을 간병인에게 맡겨야 하며 신체 능력이 급격히 떨어져서 대부분의 시간을 침대에서 보내게 될 수 있습니다. 영양실조, 피부 감염, 배뇨장애, 폐렴 같은 2차 질환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알츠하이머병의 예방법
생활습관병 개선하기
당뇨병은 알츠하이머 발병의 위험을 높입니다. 이는 뇌의 동맥경화를 촉진하고 뇌신경 세포에 손상을 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같은 생활습관이 있다면 적극 치료하고 예방해야 합니다.
스트레스 쌓지 않기
과도한 스트레스도 알츠하이머와 치매 원인이 됩니다. 스트레스를 쌓아두면 호르몬 밸런스가 흐트러지고 뇌신경세포에 악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도 알츠하이머의 원인이 될 수 있어서 주의해야 합니다.
치주질환 치료하기
치주질환의 원인이 되는 균이 혈관을 타고 뇌로 들어가면 알츠하이머병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진지발리스균이 뇌에서 단백질을 만들고 이 단백질은 뇌신경세포를 파괴해 알츠하이머 치매를 유발합니다. 따라서 치주질환이 있을 때는 서둘러 치료받아야 합니다.
적극적으로 생활하기
성격이 내향적이고 사람과의 교류가 없을 경우 치매의 위험이 높습니다. 그렇다고 무리하게 성격을 바꾸는 것은 스트레스가 됩니다. 우선 혼자라도 할 수 있는 운동을 하거나 취미생활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알츠하이머를 치료할 수 있는 치료법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조기 발견이 중요하며 증상을 늦출 수 있도록 필요한 약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반응형'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 호르몬 불균형 증상 7가지 (0) 2022.12.27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면 대장암일까 (0) 2022.12.26 머리가 멍하고 맑지 않은 증상 (0) 2022.12.23 잇몸이 내려 앉을 때 주의 치료방법 (0) 2022.12.20 갑자기 허리가 아플때 원인과 대처법 (0) 2022.12.17